역사 전시관의 시대적 분위기 연출
역사 전시관에서 조명은 단순한 시각 보조 수단이 아니라, 시대적 분위기와 감성을 재현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전시의 주제가 고대, 중세, 근대, 현대 중 어디에 속하느냐에 따라 조명의 색온도, 밝기, 각도, 그림자 처리 방식까지 달라져야 합니다. 특히 시대적 빛 환경을 재현하려면 당시의 건축 구조, 사용된 재료, 생활 광원, 자연광 특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이를 무시하면 아무리 정교한 유물이라도 관람객이 몰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역사 전시관 조명 설계는 보존과 연출, 그리고 관람객의 안전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세심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시대별 빛 환경 분석과 색온도 설계 고대·중세 시기의 전시는 전등이 없던 시절의 광원을 모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시에는 횃불, 기름등, 양초, 장작불 등이 주요 광원이었기 때문에 2200~2700K의 낮은 색온도와 부드러운 확산광이 적합합니다. 이때 조도는 50~150lx 범위에서 설정해 은은한 명암 대비를 만들면, 유물 표면의 질감과 세부가 더욱 도드라집니다. 특히 석조물이나 금속 유물은 빛의 각도를 낮게 잡아 그림자가 길게 드리우도록 하면 시간의 흐름과 장중한 분위기를 함께 전달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나 근대 초기처럼 실내외 혼합광이 존재했던 시기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자연광과 등불 또는 석유등이 혼재하는 환경을 재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경우 3000~3500K 범위의 색온도가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하이라이트와 그림자를 통해 생활 공간의 입체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근현대 전시의 경우에는 3500~4000K의 중성광이 적합하며, 산업화 시기 이후의 도시 생활상을 재현할 때는 백열등(3000K 전후)과 형광등(4000K 전후)을 혼합 배치하는 방법이 당시의 분위기를 사실적으로 살립니다. 다만 공간 전체에 무작위로 혼합하면 산만해지므로, ‘존’별로 광원 색온도를 명확히 구분해 관람 동선에 따라 시대감을 변화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밝기와 그림자로 만드는 공간 깊이 밝기는 단순히 ‘잘 보이게’...